①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의 재구성
2019-2021년 | 서울로7017 수탁운영 (서울시)
2017년 | 2018년 전라도 정명천년 기념사업 연구용역 (나주시)
서울시 청년예술단 포럼 기획 및 운영 (서울시 문화본부)
2015년 | 예술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청년예술가 창작워크샵 (서울문화재단)
2011년 | 홍대앞 걷고싶은거리 ‘마을 페스티벌’ 기획
2005-2008년 |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고양국제어린이영화제, 인디다큐페스티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2005-2007년 | 모던락페스티벌 개최
2005년 | 신나는 예술여행 기획 및 진행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4-2007년 | 나눔의 영화관 사업. 공공문화 프로젝트 ‘달리는 놀이터’
2001-2007년 | 지역축제 감리 및 모니터링 사업
2001-2003년 | (소외지역) ‘찾아가는 문화활동’ 기획 및 진행 (문화관광부)
② 다양성과 공통감각에 기초한 새로운 시민문화 만들기
2019년 | 시민력을 깨우는 영화읽기 (문화체육관광부)
2019-2021년 |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수탁 운영 (서울시)
2017년 | 이야기 들어주는 청년예술가 프로젝트 기획 협력 (서울문화재단)
2016-2018년 |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수탁 운영 (서울시)
2014년 | 외인 A.P.T 사용하기 2 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_다원예술창작지원)
2013년 | 외인 A.P.T 사용하기 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1년 | 명랑에너지발전소 파일럿 프로그램 공동 기획
2010년 | 라이브에이드(Live Aid) 콘서트 기획 (다수의 문화행사 기획)
2008년 | 대안문화 도큐먼트 사업
2007년 | 국내 외국인 이주민 대상 번역 모임 운영 (행정자치부)
2006-2007년 | 시민적 창의성 계발 프로젝트
내 동네 이야기, 뜨거운 동네 사업 (경기문화재단)
③ 대안적인 제작(메이커)문화, 생태문화 확산
2018-2020년 | 돌곶이생활예술문화센터 수탁운영 (성북구청)
2017년 | 한국과학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사업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년 | 서울여성공예포럼 기획 및 운영 (서울여성공예센터 더아리움)
2016년 | 대안적 제작문화포럼 사업 (살림센터 공동기획)
2013년 | 문화귀촌 우물터 사업
2012년 | 문화귀촌 아카데미, 지역탐구생활 사업. 청개구리 제작소 사업
2009년 | 환경교육 프로젝트 ‘재활용 놀이터 : 고물상’
2007년 | 생태적 생활문화교육 워크숍, 교안 제작 프로젝트 (교육과미래복지재단)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녹색캠프’ (토지공사)
④ 협력적 창의성을 기르는 문화예술교육
2018년 |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프로그램 수탁운영 (서울특별시교육청)
광주삶디자인센터 ‘청소년 삶+일캠프’ 기획 및 운영 (광주시)
2017년 | 손끝창의학교 기획 및 운영 (세운공공)
2013년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년 | 문화예술교육사업 ‘개나리봇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학교다닐 때 '똥글이'로 불렸다. '센 언니'로 기억하는 후배도 있던데 못 싸운다. 버티기는 잘한다. 시작했으면 끝을 봐야 한다. 최근엔 '초긍정'으로 불리고 있다. 할 거면 얼렁 하자. 혼잣말이 점점 늘어난다.
연구자로 살아가고 싶었지만 기획자로 살아가는 중. 사회혁신, 문화예술, 미래세대 등을 엮어가며 새로운 일을 만들어간다.
a.k.a 곰살구. 성북에서 아내 육끼와 함께 서식한다. 문화연구자, 문화운동가, 문화기획자가 불규칙적으로 융합된 삶을 살고자 한다. 창의력의 기본은 지구력이라고 생각한다.
분단너머의 사회를 상상해왔고 남북이 열린 이후에는 황해도 바닷가 저녁노을에 취하고픈 몽상가. 현재 서울시 건강가정지원센터장으로 재직 중, 서울시의 다양한 가족을 지원 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 좋은 사람들 속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지내는 것, 자신이 원하고 잘 할 수 있는 일들을 여전히 찾아내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식물과 공동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루하루 배우며 괜찮은 사람으로 계속 성장하고 싶다.
인간이 인간을 돕는 좋은 세상이 있다는 꼬드김에 넘어가 여전히 불온하고 위험한 상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행하기엔 비루한 몸뚱아리를 가진 먹보요 술꾼이며, 약하고 가난한 이들의 친구.
문화예술 비평, 기획, 교육 등 좋아하는 일을 마음껏 하며 살아오다가, 최근 활동가로서 새 삶을 시작했다.
좋아하는 일 뿐만 아니라, 해야 하는 일을 잘 해내는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