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7017 위탁운영 (2018-현재, 서울시)
시민 주도 도시재생, 글로컬 여행자/산책자 플랫폼 구축, 지역 커뮤니티 기반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주요 전략으로 삼아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서울로7017 시설을 관리합니다.
한국 과학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빙
(2017-2019, 한국과학창의재단)
191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한국 사회의 주요 과학기술문화의 흐름과 이슈를 보여주는각종 자료들의 디지털 아카이빙 및 온라인 퍼블리싱, 대중 강연, 제작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새활용플라자 학생중심 교육기획 및 운영사업
(2020, 서울디자인재단)
손끝창의학교 (2017, 서울시·○○은대학)
세운상가 장인·메이커·예술가와 예술+기술을 학습하며, 사회적 창의력을 함양하는 청소년 배움터입니다.
사이보그 정글 (2017, 서울시·○○은대학)
청소년들이 가상 스타트업을 설립하고 상상한 미래의 사회변혁을 위한 사이보그 로봇 제작하는 청소년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청소년 삶;일 캠프(2018,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
예술의 사회적 실천을 통한 도시의 재구성
(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을 둘러싼 사회변동과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사회적 기획으로서의 예술을 고민하는 프로그램으로, 강의, 현장탐방, 리서치, 토론 등 다채로운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공간실험 : 외인 A.P.T. 사용하기
(2013-201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속적인 개발/재개발을 통해 수직적으로 성장해가나 닫혀져 가는 우리의 거주 공간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정주와 작업, 관계 맺기를 위한 ‘행위로써의 집’에 주목했던 활동입니다.
재활용 놀이터 : 고물상 (2009-2010)
버려지고 쓸모없다 여겨지던 자원들을 매개하며, 공동의 공방/시장을 만들고 재활용 워크숍을 운영하였습니다. 마포구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관계망을 만들어갔습니다.
공공문화 프로젝트 : 달리는 놀이터 (2004-2007)
대안문화예술, 독립문화예술, 실험문화예술, 복합문화예술, 공공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 기자재를 갖춘 이동시설을 가지고 문화예술 현장에서 실험과 실천을 실행하였습니다.
지역축제 감리 및 모니터링 (2001-2007)
지역축제 평가 및 활성화 방안 토론회 개최, 지역축제 실태조사와 개혁방안 연구, 지역축제 네트워크 포럼 개최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문화귀촌 프로젝트 (2000-2013)
‘지역’으로 물리적 공간을 이동함으로써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 혹은 ‘도시’에서 살면서도 생태적이고 문화적인 삶의 방식을 구성하는 것 등에 대해 상상하고 실천하는 프로젝트입니다.